성가대 이야기/전례자료실

3월 전례성가 선곡

이승우베드로 2010. 2. 19. 17:26

3월(성요셉성월) 전례성가 선곡

 

3월은 사순시기의 한가운데를 지내는 시기이며 성요셉성월이기도 합니다.

따라서 입당과 파견에는 사순시기 성가를 선곡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또한 성요셉성월 성가를 3월 첫주(사순3주) 파견성가로 선곡하는 것도 좋겠습니다.

예물준비(봉헌)성가는 <봉헌>으로 분류된 성가와 더불어 참회, 자선, 회개 등의 내용을 담은 성가를 선곡하는 것도 좋겠습니다.

 

<가톨릭 성가>집이 우여곡절 끝에 수정판으로 판매되기 시작하였습니다.

이 수정판 성가집에는 아래와 같이 일부 곡이 빠져있거나 편곡이 달리되어 있습니다.

신자들의 혼선을 피하기 위해서는 빠져있는 곡들은 선곡에서 제외하는 것도 필요할 듯 합니다.

 

* 삭제된 곡

  3  빛의 하느님                                  7  주님께 새로운 노래를                                8  이른 아침
  9  우리 모두 함께 모여                      42  가장 미소한 자를 대접하라                       43  영원한 생명
 45  참 사랑                                        53  주는 나의 목자시니                                 60  주의 이름 찬양하라
 76  그리스도 왕국                              120  수난의 예수                                          126  메시아의 수난
140  주의 승천 찬미하네                      162  성체 성혈 그 신비                                 181  신비로운 몸과 피
206  성심의 사랑                                 207  주의 성심                                             214  주께 드리네
267  성모송                                         268  여인 중에 복되신 성모                          353  <위령미사곡 2> 입당송
354  <위령미사곡 2> 자비송                 355  <위령미사곡 2> 화답송                         356  <위령미사곡 2> 연송
357  <위령미사곡 2> 거룩하시도다       358  <위령미사곡 2> 하느님의 어린양           359  <위령미사곡 2> 영성체송
360  화답송                                        361  화답송(대림, 사순, 장례)                      362  화답송(부활, 연중)
366  복음 환호송                                367  보편 지향 기도 응답                             368  보편 지향 기도 응답
369  보편 지향 기도 응답                    374  신앙의 신비여                                      375  신앙의 신비여
381  아멘                                          382  아멘                                                    383  아멘
384  아멘                                          386  아멘                                                    388  주님의 기도
470  야훼는 나의 목자                        475  알렐루야               


* 수정된 곡

 10  주를 찬미해                                 12  주님을 기리나이다                                13  주님을 그리나이다
 30  승리의 십자가                              35  나는 포도나무요                                   80  거룩하신 성삼이여
 95  별들을 지어 내신 주                      96  하느님 약속하신 분                             111  하늘 높은 곳에 영광
113  성 요셉과 성 마리아                     148  위로자 성령                                      173  사랑의 주여 오소서
176  믿음 소망 사랑                            208  간절한 주의 사랑                               213  제단에 예물을 드리려 할 때
215  영원하신 성부                             258  구세주의 어머니여                             260  영광의 성모
262  고통의 어머니                             272  은총이 가득하신 마리아님                  282  의로운 성 요셉
290  복음을 전한 사도들                     293  보호 천사                                          315  <미사곡 3> 자비송
316  <미사곡 3> 대영광송                   317  <미사곡 3> 거룩하시도다                    318  <미사곡 3> 주님의 기도
319  <미사곡 3> 하느님의 어린양        320  <미사곡 4> 자비송                              321  <미사곡 4> 대영광송
322  <미사곡 4> 거룩하시도다            323  <미사곡 4> 주님의 기도                       324  <미사곡 4> 하느님의 어린양
325  <미사곡 5> 자비송                      326  <미사곡 5> 대영광송                           327  <미사곡 5> 거룩하시도다
328  <미사곡 5> 하느님의 어린양        371  보편 지향 기도 응답                            465  구원의 희생
 

* ‘야훼’에서 ‘주님’ 등으로 가사 수정된 곡
 11  야훼 하느님                                12  주님을 기리나이다                                 16  온 세상아 주님을
 50  야훼는 나의 목자                         52  야훼 나의 주님                                      64  이스라엘 들으라
285  103위 순교 성인                         416  좋기도 좋을시고                                   418  새로운 노래를 불러
420  주님을 항상 내 앞에 모시오니      430  기쁨으로 야훼님 섬겨 드려라                443  자애로우신 주님
477  그 소리 온 땅으로                       504  우리와 함께 주여                                 514  주여 대령했나이다

 

 

* 3월 7일 (사순 제3주일)

입당 116

예물준비(봉헌) 461, 220

성체 168, 166, 158

파견 280

 

* 3월 14일 (사순 제4주일) - 레따레(Laetare) 주일

사순시기 제4주일은 레따레 주일이라고도 한다.

이 말은 '예루살렘아, 기뻐하여라!' 하고 외치는 라틴어 입당송의 첫 단어에서 유래한다.

사순시기 중간에 회중은 부활의 서광을 앞두고 마지막 승리를 기뻐하며 휴식한다.

꽃을 사용할 수 있고 오르간을 연주할 수 있으며 장미색 제의를 입을 수 있다.

장미색 제의를 사용하는 관습이 개발된 것은 이 색깔이 황금색 전례복과 어울렸기 때문이다.

이날 교황은 교회의 성대한 전례를 생각하며 황금색 제의를 입고 축복한다.

 

입당 118

예물준비(봉헌) 281, 16, 216

성체 127, 167, 177

파견 123

 

* 3월 21일 (사순 제5주일)

입당 489

예물준비(봉헌) 510, 340, 123

성체 334, 164, 160

파견 282

 

* 3월 28일 (주님수난 성지주일)

입당 10

예물준비(봉헌) 117, 213, 216

성체 506, 175, 176

파견 125

 

* 주님수난 성지주일

성지주일로 더 잘 알려져 있는 주님수난 성지주일은 성주간의 첫째 날이다.

전에 수난주일로 불렸던 사순시기 제5주일과 혼동해서는 안된다.

전례는 사순절 분위기와 뚜렷한 대조를 이루며

성지를 축성하고 행렬을 하는 동안 승리의 기쁨으로 시작하여 그리스도의 예루살렘 입성을 재현한다.

이는 그리스도 왕을 공경하는 승리의 행렬에서 가장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며

모든 신도들이 완전히 참여하게 한다.

이날 미사동안 반영되는 상반되는 슬픔이 우리를 성주간에로 이끌어 간다.

 

교중미사와 장엄한 미사 전에 행렬을 하거나 다른 미사들에서는 단순한 입장을 하여 모든 미사에서 주님의 예루살렘 입성을 기념한다.

(미리 1주 또는 2주 전에 주례사제, 전례담당 수녀님, 해설자 등과 의논 및 확인이 필요하다)

가능하다면 회중은 미사를 드릴 성당이 아닌 성당이나 경당 또는 다른 적합한 장소에 모인 뒤에

미사 드릴 성당으로 행렬해 가는 것이 좋다.

신도들은 성지를 손에 들고 성가(호산나 다윗의 후손~~)를 불러 주례자에게 인사한다.

주례자은 성지를 축복하는 특별한 기도로 예절을 시작하면서 성지에 성수를 뿌린다.

(이때 성수를 뿌리는 시간이 오래 걸릴 경우 가톨릭 성가 10번을 불러도 좋다)

사제는 주님께서 입성하시는 복음 말씀을 봉덕하고 간단한 강론을 한 뒤에 교회안으로 행렬해 간다.

이때 적합한 찬미가나 후렴을 노래한다.(히브리의 아이들이~~~, 영광찬미 영예 모두 님의 것 ~~ 주님께서 거룩한 도읍 ~~~)

제대에 분향한 다음 미사의 본기도를 바친다.

그런 뒤에 보통 때처럼 말씀의 전례를 계속한다.

 

성당 밖에서 행렬할 수 없으면 장엄한 입장이라 불리는 비슷한 행렬을 한다.

이때는 성당 입구나 성당 안에서 행렬을 시작한다.

장엄한 입장을 하지 않을 경우 입당송을 노래하거나

같은 주제의 다른 적합한 성가를 부르면서 보통 미사의 시작 때처럼 단순한 입장을 한다.

 

이 주일의 모든 미사에서 공관복음서 가운데 한 본문의 수난기를 복음으로 선택한다.

요한 복음서의 수난기는 주님수난 성금요일에 봉독하기 때문에 이때는 봉독하지 않는다.

 

<출처>

가톨릭 출판사 발행 <전례사전>에서 부분 발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