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로마 미사 경본> 한국어판 살펴보기 새 「로마 미사 경본」(한국어판) 살펴보기 신자들이 응답할 때 ‘또한 사제의 영과 함께’ - 「로마 미사 경본」(한국어판). 전례는 개인의 기도가 아니라 교회의 공적인 기도다. 전례에 관해 정해진 내용과 절차를 담아 교황청의 권위로 반포하는 것이 ‘전례서’다. 모든 전례와 교회 .. 성가대 이야기/전례자료실 2017.11.08
<로마 미사 경본> 한국어판 주요 변경 사항과 발행 연표 「로마 미사 경본」 한국어판 주요 변경 사항과 발행 연표 * 한국어 미사 통상문 일부 수정 변경 전 변경 후 변경 근거 또한 사제와 함께 (신자들의 응답) 또한 사제의 영과 함께 (Et cum spiritu tuo.) 경신성사성 공문(Prot. N. 467/05/L) spiritus : 개인의 영혼이 아니라 사제가 성품성사 때 받은 '성령.. 성가대 이야기/전례자료실 2017.11.08
[미사] 전례의 숲: 영성체 (1) [전례의 숲] 영성체 (1) 영성체는 성체 성혈, 곧 주님의 몸과 피로 변한 빵과 포도주를 먹고 마시는 예식입니다. 미사가 잔치, 곧 공동식사라면 영성체는 빠뜨릴 수 없는 본질 부분입니다. 음식을 먹지 않고 음료를 마시지 않는 식사는 정상이 아니고 식사라고 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전통.. 성가대 이야기/전례자료실 2017.09.26
[미사] 전례의 숲: 영성체 직접 준비 [전례의 숲] 영성체 직접 준비 “하느님의 어린양” 노래가 끝나면 영성체를 하기 전에 마지막 준비를 합니다. “영성체 전 기도”와 “하느님 어린양” 선포, 그리고 “겸손의 기도”입니다. 이 예식은 짧고 또 앞에 중요한 준비 예식들이 있었기 때문에 징검다리 예식으로 여기고 무심.. 성가대 이야기/전례자료실 2017.08.29
[미사] 전례의 숲: 빵 나눔 예식 [전례의 숲] 빵 나눔 예식 평화 예식에 이어 빵 나눔, 또는 빵 쪼갬 예식이 뒤따릅니다. 사제는 성체를 쪼개어 작은 조각을 성작 안에 넣고 회중은 “하느님의 어린양” 노래를 하는 예식입니다. 이 예식에는 세 요소, 곧 성체를 쪼갬, 작은 성체 조각을 성혈에 섞음, “하느님의 어린양” .. 성가대 이야기/전례자료실 2017.08.29
[미사] 전례의 숲: 평화의 예식 [전례의 숲] 평화의 예식 미사의 평화 예식은 초 세기부터 있었습니다. 이 예식은 예수님의 말씀에 뿌리를 내리고 있었습니다. “그러므로 네가 제단에 예물을 바치려고 하다가, 거기에서 형제가 너에게 원망을 품고 있는 것이 생각나거든, 예물을 거기 제단 앞에 놓아두고 물러가 먼저 그.. 성가대 이야기/전례자료실 2017.08.29
[미사] 전례의 숲: 주님의 기도 [전례의 숲] 주님의 기도 초 세기에는 감사기도가 끝나면 곧바로 빵 나눔과 영성체를 하였습니다. 4세기부터 거룩한 주님의 몸과 피를 합당하게 모시기 위한 준비 예식들이 생겼습니다. 오늘날 영성체 준비 예식은 주님의 기도로 시작합니다. 이 기도는 감사기도를 종합하고 영성체를 준.. 성가대 이야기/전례자료실 2017.08.29
[미사] 전례의 숲: 영성체 예식 [전례의 숲] 영성체 예식 “영성체”는 “성체(와 성혈)를 받음”이라는 뜻으로 축성된 빵과 포도주, 곧 주님의 몸과 피를 받아 모시는 행위를 가리킵니다. 영성체 예식은 성찬 전례의 셋째 부분으로서 예물 준비와 감사기도처럼 예수님의 마지막 만찬에 뿌리를 내리고 있습니다. 예수님.. 성가대 이야기/전례자료실 2017.08.29
[미사] 전례의 숲: 모든 영예와 영광이 하느님 아버지께(마침 영광송) [전례의 숲] 모든 영예와 영광이 하느님 아버지께(마침 영광송) 교회는 사도 시대부터 전례와 기도에서 여러 영광송들을 친숙하게 사용하였습니다. 바오로 사도 편지에는 이러한 현실을 반영하는 영광송들이 실려 있습니다. “홀로 지혜로우신 하느님께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영원토록.. 성가대 이야기/전례자료실 2017.08.29
[미사] 전례의 숲: 주님, (아무)를 생각하소서!(전구) [전례의 숲] 주님, (아무)를 생각하소서!(전구) 하느님께 은총을 청하는 기도 가운데 자신을 위해서가 아니라 남을 위하여 바치는 기도가 있습니다. 이 기도를 전구 또는 “전구 기도”라고 합니다. “중개 기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구”의 라틴말은(intercessio) “중개” 또는 “중재.. 성가대 이야기/전례자료실 2017.0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