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가대 이야기/성가대 단상

좋은 성가대와 좋지 않은 성가대

이승우베드로 2010. 2. 9. 12:05

좋은 성가대는

 

1) 출석률이 가장 중요합니다.

    주일 출석율이 재적인원의 85% 이상이어야 합니다.  성가대원의 가장 중요한 임무이기 때문입니다.

 

2) 주중 연습(정기연습)을 하고 있습니다.

    주중연습(정기연습)은 좋은 성가대의 필요 조건은 아니지만  대체로 연습시간을 많이 확보한 좋은 성가대의 특징입니다.

 

3) 대원들이 인정하는 지휘자가 있습니다.  성가대에서 가장 중요한 사람은 지휘자이기 때문입니다.

 

4) 성가대 내의 연령층이 고르거나, 혹은 고르지 않더라도 대원간의 큰 격의가 없습니다.

 

5) 연습 이외에도 기도회나 친교 등 행사나 모임이 많이 있습니다.

 

6) 대원 개인이 그 교회의 성가대원이라는 자부심을 갖고 있습니다.

 

7) 대원들이 최소한 주일만큼은 다른 약속을 하지 않고 성가대를 위해 헌신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8) 단장, 총무 등 임원진과 지휘자의 의견이 언제나 일치합니다.

 

9) 사목자(사제, 수도자, 지도위원)의 관심이 많습니다.

 

10) 미사 시간 직전 성가 연습 시간이 최소 1시간은 됩니다.

 

11) 성가대 단장이 연습에 열심으로 참여하고 있었습니다.

 

12) 성가대원 중에 부부가 많이 있었습니다.

 

 

좋지 않은 성가대는

 

1) 주일 출석율이 재적인원의 75% 미만이었습니다.

 

2) 대원들이 여러가지 면에서 지휘자를 인정하고 있지 않았습니다.

 

3) 대원들이 성가대원으로 임명받았다는 것에 대해 큰 관심이 없으며 언제든 이탈이나 재입단이 가능했습니다.

 

4) 연습이 정시에 시작되지 못하고 10분 가량 혹은 그 이상 지체되었습니다.

 

5) 주일 미사 직전의 연습시간이 30분 정도 밖에는 되지 않았습니다.

 

6) 지휘자가 음악에만 치중하며, 신경질을 대원들 앞에서 자주 내고 있었습니다.

 

7) 대원의 연령층이 너무 넓고 그 사이에 생기는 거리가 심한 것이 보였습니다.

 

8) 연습 이외에는 모임이 거의 없었습니다.

 

9) 성가대원들끼리 심지어 지휘자와 대원이 어울려 과도한 술과 유흥문화 같은 것을 즐기고 있습니다.

 

10) 노래하는 곡들이 거의 재탕, 삼탕 이상의 곡들이어서 연습을 덜 해도 된다고 생각하며, 연습에 관심이 별로 없었습니다.

 

11) 지휘자, 반주자, 단장, 총무 등 임원, 지도자들 간의 여러가지 갈등이 보입니다.

 

12) 우리 성가대는 못하는 성가대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

 

아래의 도서에서 발췌 하였습니다.

 

도서명 - 박신화교수의 합창에 관한 질문과 응답

저자 - 박 신화

펴낸곳 - 도서출판 중앙아트